return은 함수 안에 있을때 값을 반환함과 동시에 함수를 멈춰주는 역할을 하고, print는 함수 안에 있을때는 함수를 멈추지 않고, 값을 반환하는 함수라고 알고 있었다.
백준 알고리즘을 풀다가 solve(n)의 형태로 제출하니 몇번을 해도 틀려서 머리가 아팠는데, print(solve(n))의 형태로 제출하니 바로 해결되었다.
solve(n)의 값이 -1이라고 했을때,
print(-1)
이 아니라
-1
을 실행시킨것과 같은것.
함수값 반환과 출력은 엄연히 다른 것. 기억해두자.
'배우는 것들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1057번 - 오르막수 (0) | 2022.06.20 |
---|---|
백준 1932번 정수삼각형 (DP) (0) | 2022.06.16 |
동아리 프로젝트 - 산업별 매출에 대한 COVID-19의 영향 (0) | 2022.06.15 |
[ERROR] window, anconda 환경에서 prophet 설치 (9) | 2022.05.29 |
데이터 과학을 위한 파이썬 머신러닝 (0) | 2022.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