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MSE지표 특성상 1에 가까워 질 수록 성능을 높이기 힘들어진다.
코드를 다시 찬찬히 살펴보니, 결측치 처리가 너무 나이브하게 처리가 되어있다.
데이터의 양 자체는 충분히 많으니 drop.na를 통해 결측치를 싹 도려낼 생각이다.
피처별 na값을 살펴보고 너무 많은것은 사용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 같다.
'배우는 것들 > 팔당댐 홍수 안전운영에 따른 수위 예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회 후기 (1) | 2022.10.05 |
---|---|
20220812 기록 (0) | 2022.08.12 |
20220811 6등! (0) | 2022.08.11 |
20220811 1차 시도 (0) | 2022.08.11 |
08-10 1차 시도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