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득 핸드폰 게임을 컴퓨터에서 하고 싶어져서 방법을 찾아봤다.
앱플레이어 같은 예뮬레이터로 돌릴 수도 있지만 리소스 소모가 너무 심했다.
윈도우 11 업데이트가 막 시작되었을 때 애플의 로제타같이 apk를 컴퓨터에서 로컬로 돌릴 수 있다는 글을 읽은 적이 있어 찾아봤다.
윈도우 11의 참가자 프로그램이라는 일종의 베타테스트 같은 기능을 이용하면 wsa(windows subsystem for android)를 이용할 수 있었지만, 아마존 웹스토어만 지원이 되고 아직 구글 플레이스토어는 지원이 되지 않아 다른 커스텀을 추가해야 했다.
GitHub - WSA-Community/WSAGAScript: Scripts to install Google Apps into a WSA image. Plus optional root
Scripts to install Google Apps into a WSA image. Plus optional root - GitHub - WSA-Community/WSAGAScript: Scripts to install Google Apps into a WSA image. Plus optional root
github.com
해당 방법은,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wsa번들 설치파일을 받은 다음 내부 이미지 파일을 수정해서 wsa를 설치 할 때 플레이스토어를 같이 설치하는 것이다.
이 영상을 따라하면 쉽다.
영상에서는 7zip을 사용하는데 그냥 알집을 사용해도 무방할 듯 싶다.
내가 겪은 이슈는 두 가지가 있는데,
microsoft.ui.xaml.2.6 framework가 설치되어 있지않아 설치파일 수정후 설치과정에서 문제가 있었고,
설치파일 수정 중 kernel을 옮기는 과정에서 kernel_x86의 이름을 kernel로 수정하지 않아 문제가 되었다.
microsoft.ui.xaml.2.6 framework의 경우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wsa파일을 받을 때 검색결과 상단에 파일이 있어 설치해 해결할 수 있었다.
후자는 그냥 이름을 kernel로 바꾸고 다시 설치하니 해결이 되었다.
문제없이 실행 된다.
wsa 실행 자체는 문제가 안되었지만 다시 게임 실행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다.
루트권한이 주어져 있어 게임을 실행할 수 없었다.
그래서 다른 방법을 찾았다.
https://github.com/LSPosed/MagiskOnWSA
GitHub - LSPosed/MagiskOnWSA: Integrate Magisk root and Google Apps (OpenGApps) into WSA (Windows Subsystem for Android)
Integrate Magisk root and Google Apps (OpenGApps) into WSA (Windows Subsystem for Android) - GitHub - LSPosed/MagiskOnWSA: Integrate Magisk root and Google Apps (OpenGApps) into WSA (Windows Subsys...
github.com
이건 더욱 간단하다.
본인의 깃허브에 포크한 다음 actions에서 워크플로우를 실행시키면 알아서 수정된 설치파일을 만들어 준다.
이 방법으로 루트권한이 없는 설치파일을 만들 수 있었다. 나는 이미 기존의 wsa가 있었기 때문에 원활한 설치를 위해 한번 삭제 후 재설치했다.
은행어플도 실행할 수 있지만, 굳이?
지금은 한 일주일 지난 상태인데 결국 게임은 하루이틀 실행하고 말았다. 소득은 윈도우 환경에서 안드로이드와 리눅스 환경을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 정도...
지금은 잘 안보지만 카카오페이지를 넓은 화면에서 볼 수 있다는 것도 나름 장점이라면 장점..
나중에 우분투를 공부할 일이 생기면 좋을지도..
'잡생각 >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805 오늘의 낭만부 (0) | 2022.08.05 |
---|---|
22.06.08 qk65 (0) | 2022.06.08 |
22.01.18 (0) | 2022.01.18 |
22.01.06 영화 램 관람 (0) | 2022.01.07 |
22.01.02 필스너 하우스 (0) | 2022.01.05 |